콘크리트
Stack의 내부에 설치되는inner-flue
구조물로, 화면상으로는작아보이지만, 지름 약8m,높이 약100m정도의 대형구조물입니다.
기존의
inner-flue설계는scissor등의1D-Frame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습니다.
그러한
1차원 요소를 이용하여 설계를 할 경우, 가장 큰 하중인열에의한변형을 요소의 길이방향 변형으로만 검토가 가능하다는 큰 오차를
수반하게 됩니다.
기존의
이러한 설계관행을 벗어나,
이 검토에서는3차원full modeling을 수행하여 구조체의3차원적 거동을 모두 고려하였고, 유동해석(CFD)결과 얻어진inner-flue위치별온도하중을재하하여설계에 반영하였습니다.
Can의
위치별 온도하중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[고체-유체간열전달해석] 즉, conjugated analysis를 수행하여유체열유동해석과 동시에 구조체에 전달되는 온도데이터를 산정하였습니다.
온도하중
뿐 아니라 자중, 지진하중 등에 대한 검토를 동시에 진행하여hanging
type inner-flue의 suport 상세설계가 동시에 진행되었으며,Expansion joint선정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습니다.
삼척화력발전소에
처음 도입된 이 검토방식은,
현재신보령발전소, 태안발전소 등의 설계에 적용되고 있으며, 향후 건설되는 발전소stack설계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습니다.